R & S(Routing & Switching)
Router
- WAN(50kbps ~ 44Mpbs)과 LAN(100Mbps~1000Mbps)의 인터페이스를 모두 가짐
-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들을 연결해주는 역할
- LAN 구간 안에서의 라우터 사용은 굳이, 고급 스위치를 놓고 높은 대역폭으로 높은 속도를 뽑아내는 것이 현명함
- 한 건물의 네트워크실은 지하에 두도록 설계함(ISP업체의 전용선들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음)
- -> ISP업체의 회선이 각 내부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MDF실(Main 통신실 or Main Rack)에 연결되고 통신 전용 케이블 통로인 TPS를 통해 각 실로 분배됨
-> 하나의 사옥이라면 각 층마다 광케이블을 넣지 않고 백본 스위치(코어 스위치)에서 랜으로 넣으면 되지만, 각 층마다 다른 업체들이라면 MDF실에 광 포트가 많은 백본 스위치를 두고 각 층에 광케이블을 넣는 방법이 있음
(업체별 이외의 층이 높은 건물의 경우도 랜(최대 100M)으로 해결이 안됨)
* 라우터 장비의 인터페이스 활성화(no shutdown)의 순서는 설정이 끝난 후 가장 마지막에 해야 함! -> 상대 라우터 장비와 충돌 발생 가능
통신의 개념
L1(Physical Layer) : 물리적인 케이블 연결
L2(Datalink Layer) : 전류흐름(논리적인 연결), 동일 네트워크 이더넷 구간에서는 ???
(물리적인 연결 외에 논리적인 연결도 필요한 이유는 브로드캐스트 통신이 아닌, 흐름제어와 같은 식별 과정이 필요함 -> ex) 물리적인 연결만 되어 있으면 그냥 구리선으로 냅다 보내버리면 되는데 논리적인 연결로 누구에게만 전송할 수 있도록)
-> PPP(WAN구간 프로토콜)와 같은 프로토콜을 양방향 모두 정해야 함(Encapsulation 과정)
(시스코 라우터는 HDLC로 기본값 설정되어 있음)
-> 보통 Point to Point 연결되어 있는 WAN 구간에서는 송수신 주소 정보를 빼고 전송함
L3(Network Layer) : IP 통신
- WAN 구간에는 Point to Point 통신으로 많은 개수의 호스트가 필요 없음
(ip 2개만 있으면 됨 -> 255.255.255.252 =/30)
=> 이 순서에 라우터 인터페이스 활성화(no shutdown)하는 것
* 인터페이스 장비의 serial 0/0의 의미는 0번 슬롯에 0번 포트를 의미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 Encapsulation(캡슐화) :
-- OSI 계층 모델에서 사용자 데이터가 각 계층을 지나면서, 하위계층은 상위계층으로부터 온 정보를 데이터로 취급하며, 자신의 계층 특성을 담은 제어정보(주소, 에러제어 등)를 헤더화시켜, 이를 붙이는(포장하는) 일련의 과정
-- 송신 데이터(페이로드)에 필요한 정보(헤더)를 붙여서 다음 계층에 보내는 기술(상위 계층 -> 통신 프로토콜 정보 추가 -> 하위 계층)
- Decapsulation(역캡슐화) :
-- 각 계층에서 추가된 특정한 프로토콜 제어 정보(PCI, 헤더 등)들을 통신의 상대 측에서는 캡슐화 과정의 역순으로 제거하면서 응용계층까지 도달하는 과정
-- 캡슐화를 거친 패킷이 최종적으로 전기신호를 통해 수신 측에 전달되면 헤더나 트레일러 등을 차례차례 제거해 나가는 것(하나 하나씩 뜯어보는 것)
* 패킷은 Header와 Payload로 구분, Encapsulation 과정에서 각 계층에 맞는 헤더 정보를 감쌈, Decapsulation 과정에서 각 계층에 맞는 헤더 정보를 뜯어봄
(이더넷은 1500byte(=15MB)의 헤더 공간)
-> 라우터에서 라우팅을 할 때 CDP, LLDP와 같은 프로토콜로 직접 연결된 링크 정보를 알아 옴(Connected), 이외의 주소 정보는 라우팅을 해줘야 함
-> #show ip route 명령어로 라우팅 테이블 확인 가능
Routing
1) Static Routing
- 관리자에 의해 직접 정보 입력
2) Dynamic Routing
- Protocol의 통신에 의해 정보 수집
- RIP(15홉 이내), OSPF 등
enable 보안
권한의 정도가 다름(15-MAX, 0-MIN)
-> enable password 설정 필요
사용자 계정 만든 후 enable secret 을 지정해 enable 들어갈 때 해당 패스워드 입력 요구
* 콘솔 보안 : 콘솔(모니터, 키보드 등 작업 환경) 창에 입력하는 패스워드 보이지 않도록
아예 장비와 콘솔 연결이 끊어진 것, user exec 모드에서 exit 쳤을 때의 화면(장비의 콘솔 포트(orPC의 포트)에서 아예 뽑아 버린 것)
- 콘솔 접속은 라우터의 콘솔 포트(Console Port)와 일반 PC의 RS232C(현재는 USB) 포트로 연결해 일반 PC의 입출력장치로 라우터의 설정하는 것
- 콘솔 포트는 IP 할당 불가한 포트, 이러한 입출력의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 보아 'IP 없이는 통신이 안된다'는 말은 모순된 말임
콘솔 포트 보안
콘솔 접속 로그인할 때 로컬 장비에서 생성한 계정(Local Database)으로만 접속할 수 있도록
(로컬 계정을 만들기 전에 이 설정을 하면 접근 불가한 셈)
콘솔 포트 보안과 enable secret 설정 후 접속 화면
PC의 RAM(DRAM)에 저장된 내용이라고 생각하면 됨(재부팅 시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
현재 운영 중인 설정 사항들이 저장되어 있음
* startup-config : PC의 ROM(NVRAM)이라고 생각하면 됨(재부팅 시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
-> 장비를 시작할 때 startup-config 정보를 running-config로 옮기고 작업(부팅할 때 자동으로), 종료할 때 running-config를 startup-config로 옮기고 종료(#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설정한 정보들 확인 가능(running-config)
재부팅(reload) 후 설정 재확인
나도 모르게 저장했나보다;;
erase startup-config 명령어로 장비 초기화
메모리에는 페이지 단위로 저장, startup-config는 파일
Encapsulation 타입 설정
show interface serial 0/0
반대편 라우터가 죽어 있어서 다시 다운상태가 됨
반대편 EG 라우터에도 설정
인접핑 성공
한쪽 라우터만 encapsulation 타입을 PPP로 변경
(encapsulation 타입이 서로 다르니 통신이 안되어야 함)
콘솔 메시지가 다운되었다는 문구로 출력되고 핑이 안됨
(L1 통신 성공, L2 통신에 문제)
다시 통신되도록 encapsulation hdlc로 맞추고 통신해보기
내부망의 게이트웨이가 되는 인터페이스에 ip와 인터페이스 활성화 설정
서브넷 마스크까지 확인하려면 show running-config 내용으로 확인 가능
(#show ip int b로는 서브넷마스크 확인 불가)
Static Routing
동일 네트워크 내의 게이트웨이까지 핑 통신
#show ip route 명령어로 라우팅 테이블 확인 가능
라우터에서 ping 가능(10.0.0.1 , 10.0.0.2)
끝단 장비인 PC1에서 ping 10.0.0.1 가능(빨간 라인), 10.0.0.2 불가능(파란 라인)
-> connected 라인이라 10.0.0.1 가능, 파란 라인은 패킷 돌아올 때 R1 KT(ISP) 라우터에서 172.16.0.0/23 대역을 몰라서 돌아오지 못함. 불가능
라우팅 테이블에 10.0.0.2/30 보내는 경로는 connected로 등록되어 있지만, PC1로 돌아오는 패킷의 정보가 없다
-> unreachable(아예 도달하지를 못함)이 아닌 timeout(도달은 했는데 돌아오지를 못함)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
=> 가는 경로, 돌아오는 경로 모두 등록되어 있어야 함!!
1) R1 KT(ISP) 라우터에서 172.16.0.1/23 네트워크에 가려면 10.0.0.1/30(se 0/0)로 가라.
2) EG 라우터에서 172.16.0.1/23 네트워크(172.16.0.0/23)에 가려면 connected 경로(neighbor)에 의해 fa 0/0로 가라
* 서브넷마스크를 255.255.255.255로 해당 ip 하나만으로도 지정 가능
3) 172.16.0.0/23 네트워크 대역까지 왔으니 밑의 스위치 단에서 해결 가능
=> 돌아오는 패킷 해결
ip route [목적지 네트워크] [방향 인터페이스] [전달자]
-> [목적지 네트워크]에 가려면 [방향 인터페이스]로 나가서 [전달자]에게 가라
ping 가능
모든 장비(호스트PC)에 IP 부여 후 전 장비 통신 가능하도록 라우팅하여라
-> R1 KT(ISP) 라우터에 172.16.0.0/23 네트워크 대역 라우팅이 이미 되어 있으니, PC들 ip만 부여하면 통신 가능함
모든 장비들에 적절한 ip를 할당 후 전 구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Static Routing을 설정하여라
connected 라인을 제외한 네트워크 대역에는 라우팅 설정이 필요
'On-Premis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 (1) | 2024.01.02 |
---|---|
Default Routing (2) | 2024.01.01 |
GNS3 2.2.43 설치, 각 장비 별 ip 부여 실습 (0) | 2024.01.01 |
IP, 서브넷팅(Subnetting), CIDR(Class Less Domain Routing) (2) | 2024.01.01 |
네트워크 구성도 예시 및 각종 기술 정의 (1) | 2024.01.01 |
개인 공부 목적으로 사용하는 블로그입니다 :)
포스팅이 좋았다면 "좋아요❤️" 또는 "구독👍🏻" 해주세요!